수혈 간호
수혈 간호
환자확인. 수혈기록. 수혈 시작,분 후, 종료까지 V/S과 부작용 관찰, 수혈기록지 기록 · 신고하기. 하기 전에 간호사에 의해 최초 발견되므로 간호기록 확인이 도움 ביולי안녕하세요. #수혈 (blood transfusion) 목적:적혈구의 산소운반능력을 보충하고 혈액량을 유지하기 위함수혈은 기존질환이 치료되는 동안 증상을 일시적으로 개선. 이번 글에서 '수혈 간호'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수혈자체에 여러가지 위험성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에만 시도 #수혈 과정에서 적절한 혈액요소가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수혈. 처음 5~15분 동안 분당~15gtt 속도로 주입, 부작용 주의 관찰. 혈액 연결. 일반적으로 수혈 중 발생한 다양한 증상에 대하여 임상의가 대처. 사실 이런 간호 지식은 교과서 요약정리하듯 딱딱하게 쓸 수도 있어요 באוג׳수혈을 준비하는 간호사는 수혈 직전 환자의 이름, 혈액형, 혈액번호를 다시 확인하고 수혈백의 투여인 란에 서명한다수혈은G이상 needle로신고하기. #수혈 (blood transfusion) 목적:적혈구의 산소운반능력을 보충하고 혈액량을 유지하기 위함수혈은 기존질환이 치료되는 동안 증상을 일시적으로 개선. 수혈직전 환자 앞 이름 & 환자인식팔찌 & 혈액형을 의료인 2인 확인. #수혈자체에 여러가지 위험성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에만 시도 #수혈 과정에서 적절한 혈액요소가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수혈수혈 목적질병이나 손상으로 인해 손실된 순환 혈액량을 보충해주고 부족한 응고 인자 또한 보충하여 혈액을 교정합니다혈액의 결핍 성분을 보충함으로써, 빈혈이 있는 환자의 산소 운반 능력을 증가시킨다종류 종류 성분 적응증 Whole blood Fresh W/B (전혈)세포성분과 혈장성분 포함단위ml다량의 혈액상실저혈량성 쇼크 (실혈량과 산소운반능력수혈 업무 수행과정: 전산입력(by Dr.) ☞ 채혈(ABO Rh, X-matching) ☞ 혈액수령(혈액수령 요청서 출력 및 작성해서 혈액박스랑 같이 가져옴, RBC제제는 1unit씩 수령) ☞ 혈액확인(도착 즉시 혈액스티커 환자이름 확인 후 도착시간과 확인자란에 서명) ☞ 환자확인(환자와 함께 두명의 의료인이 환자이름, 환자번호, 혈액형 확인 후 연결자란에 코사인) ☞ 혈액연결(수혈 전 수혈의 · 혈액확인란에 서명. 수혈직전 V/S, 수혈의 목적 및 부작용 설명 후 혈액 setting 연결.
정맥주사, 일반주사 및 수액요법 시 간호. * 년 삼성서울병원 임상간호. Evaluation of the Bar Code Medication. בדצמ׳(수혈관리실) 수혈관리에 경험과 지식이 있는 의사·간호사·임상병리사. 등 의료기관의 장이 인정하는 사람 각각 1인 이상으로 구성 (의사 최소 1인 수혈 관련 간호. Administration and Blood Transfusion System in a Tertiary Hospital 중심정맥관 관리(chemoport, H-cath.등). 각종 천자술 전후 간호(복수 의료인을 위한 간호사 편한 기능성 신발 쿠션 슬리퍼 및 용품 추천뽀너스 간호지식스티커 (수혈 Transfusion)수혈할때마다 가물가물한 주입시간! 보관시간! 연구 학술비 지원 받음. 인터페론 및 백혈구 촉진제 주사.① 수술 시의 출혈과 교통사고나 재해로 인한 외상에 따른 순환 혈액량을 보충하기 위함. 여기서 주사 바늘의 크기는 얇은 것도 상관 수혈의 목적. ① 수술 시의 출혈과 교통사고나 재해로 인한 외상에 따른 순환 혈액량을 보충하기 위함. IV start 하고 injection cap으로 막아두거나 생리식염수를 느리게 들어가도록 연결해두기도 해요. ·수혈의 목적. 또 중심정맥 라인이 없어 IV start 가 필요한 경우~20G IV 카테터, 토니켓, 반창고 그리고 필요시way, injection cap 준비합니다. · 수혈수혈 목적질병이나 손상으로 인해 손실된 순환 혈액량을 보충해주고 부족한 응고 인자 또한 보충하여 혈액을 교정합니다혈액의 결핍 성분을 보충함으로써, 빈혈이 있는 환자의 산소 운반 능력을 증가시킨다종류 종류 성분 적응증 Whole blood Fresh W/B (전혈)세포성분과 혈장성분 포함단위ml다량의 혈액상실저혈량성 쇼크 (실혈량과 산소운반능력 · 혈액의 상태 (색, 공기방울, 혼탁도, 부유물 등), 혈액백에 붙어 있는 라벨과 혈액적합시험 보고서의 일치여부 (대상자 이름, 나이, 성별, 등록번호, 혈액제제, 혈액등록번호, 혈액형, 백혈구 제거 또는 방사선 조사 유무, 유통기한)를 2명의 의료인이 확인한 뒤 두 명 모두 서명한다혈액 상태를 확인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③ 신장 (腎臟)질환이나 암과 같이 빈혈을 유발시키는 질병을 가진 경우 혈액을 보충하기 위함. ④ 혈우병이나 혈소판감소증과 같은 출혈성 질환을 가진 경우혈액의 상태 (색, 공기방울, 혼탁도, 부유물 등), 혈액백에 붙어 있는 라벨과 혈액적합시험 보고서의 일치여부 (대상자 이름, 나이, 성별, 등록번호, 혈액제제, 혈액등록번호, 혈액형, 백혈구 제거 또는 방사선 조사 유무, 유통기한)를 2명의 의료인이 확인한 뒤 두 명 모두 서명한다혈액 상태를 확인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③ 신장 (腎臟)질환이나 암과 같이 빈혈을 유발시키는 질병을 가진 경우 혈액을 보충하기 위함. ④ 혈우병이나 혈소판감소증과 같은 출혈성 질환을 가진 경우 수혈 간호 절차를 알려주는 교육 동영상으로 서울대학교병원 간호 부문에서 제공하는 동영상입니다 수혈 시 필요한 준비물로는 수혈할 혈액 제제, 수혈 세트, 트레이, 수액걸이, 생리식염수, 혈액 기록지가 있어요. ② 위중한 감염이나 간 (肝)질환으로 인하여 혈액을 적절하게 생산하지 못하는 경우 혈액을 보충하기 위함. ② 위중한 감염이나 간 (肝)질환으로 인하여 혈액을 적절하게 생산하지 못하는 경우 혈액을 보충하기 위함.
혈색소 저하 발생으로 수혈간호가 필요한 간호상황을 구현. 하였다. 치핵(Hemorrhoid)은 인간에게 가장 많은 질환 간호안전관리지침(개정9판,)수혈에 관한 안전관리신규간호사 교육 프로그램, 교육일정 안내, 병원 및 간호부 철학과 현황, 환자권리 및 간호윤리 회복실에서는 기도 유지와 적절한 산소 공급, 수액 투여 및 수혈 간호, 각종 배액관 관리, 수술 후 통증조절, 정서적지지 등이 이루어집니다 간호사의 수혈간호에 대한 지식, 중요도 및 수행도에 관한 연구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대학원: 간호학과 임상전문간호 전공 이 시나리오는 치핵절제술(Hemorrhoidectomy) 이후.수혈의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출혈로 인한 혈액 부족 시 인체기능과 생명보존에 지장이 있을 때 순환혈액을 보충하기 위함이다심각한 만성적 빈혈을 가진 대상자의 적혈구 수를 증사시키고 혈색소 수준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수혈 중 간호수혈은G 이상 needle로 시작하고 수혈 전 처방된 항히스타민제를 주사합니다 수혈 (Transfusion)은 혈액보충을 위하여 전혈 (Whole Blood)이나 혈장, 농축 적혈구 또는 혈소판 등의 혈액성분을 정맥에 주입함을 말한다. 또한 출혈로 혈액량이 급격히 감소하거나, 질병으로 인해 적혈구나 혈소판과 같은 혈구성분이 부족하여 생명에 위험이 있는 경우 다른 사람의 혈액을 받는 치료를 말합니다. ℃이상 시 의사에게 알리고 수혈여부를 결정. 수혈의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출혈로 인한 혈액 부족 시 인체기능과 생명보존에 지장이 있을 때 순환혈액을 보충하기 위함이다심각한 만성적 빈혈을 가진 대상자의 적혈구 수를 증사시키고 혈색소 수준을 유지하기 위함이다수혈의 정의와 목적. 출혈로 인한 쇼크 치료, 급성/만성 빈혈 치료수혈 제제. 수혈이 결정되면 ·수혈을 준비하는 간호사는 수혈 직전 환자의 이름, 혈액형, 혈액 번호를 다시 확인하고 수별 백의 투여인 란에 서명합니다. 산소운반능력 높이기 위함. 수혈이 결정되면 수혈 (Transfusion)은 혈액보충을 위하여 전혈 (Whole Blood)이나 혈장, 농축 적혈구 또는 혈소판 등의 혈액성분을 정맥에 주입함을 말한다. 이러한 더블체크는 반드시 필요합니다손을 씻고 혈액과 수혈 SET를 준비 후 환자에게 혈액형 확인 후 I.V pole에 혈액을 걸고 수혈 Set의 filter가 잠기도록 혈액을 채운 후 통과시켜 공기를 빼서 준비합니다. ② 목적. 또한 출혈로 혈액량이 급격히 감소하거나, 질병으로 인해 적혈구나 혈소판과 같은 혈구성분이 부족하여 생명에 위험이 있는 경우 다른 사람의 혈액을 받는 치료를 말합니다. ℃이상 시 의사에게 알리고 수혈여부를 결정. 혈액응고인자, 혈소판, 알부민 등 부족한 혈액성분 보충. 이러한 더블체크는 반드시 필요합니다손을 씻고 혈액과 수혈 SET를 준비 후 환자에게 혈액형 확인 후 I.V pole에 혈액을 걸고 수혈 Set의 filter가 잠기도록 혈액을 채운 후 통과시켜 공기를 빼서 준비합니다. ① 정의: 심한 출혈이나 빈혈이 있는 대상자에게 혈장 성분 또는 혈구 성분을 타인으로부터 공급하는 것. · 수혈 전 간호-환자를 확인한 후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고 환자의 혈액형, 과거 수혈 경험 및 부작용 유무 확인-혈액은행에서 혈액이 준비되었다는 연락이 오면 환자의 체온을 측정해 체온이. 수혈 중 간호수혈은G 이상 needle로 시작하고 수혈 전 처방된 항히스타민제를 주사합니다 수혈 전 간호-환자를 확인한 후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고 환자의 혈액형, 과거 수혈 경험 및 부작용 유무 확인-혈액은행에서 혈액이 준비되었다는 연락이 오면 환자의 체온을 측정해 체온이. 헤모글로빈 수치가 낮은 경우에는 RBC 농축적혈구 제공 (Hb의 정상 수치는 여성~16g/dl, 남성 - 수혈을 준비하는 간호사는 수혈 직전 환자의 이름, 혈액형, 혈액 번호를 다시 확인하고 수별 백의 투여인 란에 서명합니다.
관련선행지식 혈액검사와 혈액 성분의 종류 수혈전 확인해야 하는 사항 (혈액검사 등) 수혈 중 유의사항 (주입속도 조절 등) 수혈 후 부작용의 종류와 간호 필요장비 및 물품 [활력징후 측정]: 혈압계, 청진기, 체온계, 초침시계 투약카트 또는 쟁반 (tray) 투약카드 (또는 컴퓨터 출력물) 스티커 (라벨) 부착된 혈액제재 백 혈액의 종류에 따른 수혈세트 소독솜 청결장갑 (외과용 멸균장갑), 곡반 · 이 경우 외부에서 혈액을 정맥으로 공급해 주는 걸 수혈 (Blood transfusion)이라고 해요. 수혈 중 유의사항 첫분 동안~20gtts/분으로 주입속도를 맞춘다. 수혈 부작용으로 인한 환자상태를 감지한다. 수혈후부작용의 종류 -감염 -용량과잉: 심부전 -발열, 오한, 호흡곤란, 저산소증 -저체온증필요장비 및 물품 정맥주사 팔 모형 수혈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 수혈 시작 후 첫 5분간 환자를 세밀히 관찰하며 천천히 주입하여야 한다. 수혈 부작용 발생 예방 간호 대상자의 성함을 개방형 질문으로 묻고 등록번호와 대상자 입원 팔찌 대조하여 확인 수혈할 대상자와 혈액이 일치하는지 반드시 검사 정확한 대상자와 혈액을 확인하기 위해 2명의 의료진이 확인 혈액은행에서 제공받는 혈액의 혼탁도 또는 침전물 확인 수혈 전/중/후 대상자의 활력징후 확인 김종임 외 공저, EBN 기본간호학 Ⅰ, 수문사 좋아요 카카오스토리 트위터 페이스북 그리고? 그리고? 수혈후부작용의 종류 -감염 -용량과잉: 심부전 -발열, 오한, 호흡곤란, 저산소증 -저체온증필요장비 및 물품 정맥주사 팔 모형 · 수혈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주로분 이내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관련선행지식 혈액검사와 혈액 성분의 종류 수혈전 확인해야 하는 사항 (혈액검사 등) 수혈 중 유의사항 (주입속도 조절 등) 수혈 후 부작용의 종류와 간호 필요장비 및 물품 [활력징후 측정]: 혈압계, 청진기, 체온계, 초침시계 투약카트 또는 쟁반 (tray) 투약카드 (또는 컴퓨터 출력물) 스티커 (라벨) 부착된 혈액제재 백 혈액의 종류에 따른 수혈세트 소독솜 청결장갑 (외과용 멸균장갑), 곡반 이 경우 외부에서 혈액을 정맥으로 공급해 주는 걸 수혈 (Blood transfusion)이라고 해요. 활력징후는 수혈 전, 수혈 시작 후분에 측정하여 기록한다. 수혈이 완료될 때까지 환자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한다. 수혈이 완료될 때까지 환자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한다. 수혈 부작용으로 인한 환자상태를 감지한다. 수혈제제를 연결하고 주입 속도에 맞추어 주입한다. 수혈 시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수혈 수행 전, 중, 후에 정확하게 기록한다. 오한, 두통, 구토, 빈맥, 저혈압 등의 부작용 발현여부를 사정하여 대상자를 면밀히 관찰한다. 수혈 중 유의사항 첫분 동안~20gtts/분으로 주입속도를 맞춘다. 교과서에서 말하는 수혈 목적을 보면손실된 순환 혈액량의 보충부족한 혈액응고 인자를 보충빈혈 환자의 산소 운반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함혈액의 결핍 성분을 보충하기 위함 대략 이렇게 되어있는데, 간단히 말하면 혈액이나 혈액의 특정성분이 없을 경우 그걸 보충해주어 문제를 해결하는 거예요수혈은 일단 혈액형이 맞아야 해요. 활력징후는 수혈 전, 수혈 시작 후분에 측정하여 기록한다. 수혈은 되도록 2시간 이내에 끝나도록 한다. 교과서에서 말하는 수혈 목적을 보면손실된 순환 혈액량의 보충부족한 혈액응고 인자를 보충빈혈 환자의 산소 운반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함혈액의 결핍 성분을 보충하기 위함 대략 이렇게 되어있는데, 간단히 말하면 혈액이나 혈액의 특정성분이 없을 경우 그걸 보충해주어 문제를 해결하는 거예요수혈은 일단 혈액형이 맞아야 해요. 오한, 두통, 구토, 빈맥, 저혈압 등의 부작용 발현여부를 사정하여 대상자를 면밀히 관찰한다. 수혈은 되도록 2시간 이내에 끝나도록 한다. 수혈 시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이건 간호사가 아니어도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일반 상식인 것 같아요. 수혈 수행 전, 중, 후에 정확하게 기록한다. 장기 이식 전에도 이식할 장기가 환자에게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해 이것저것 검사를 하잖아요? 수혈제제를 연결하고 주입 속도에 맞추어 주입한다. 장기 이식 전에도 이식할 장기가 환자에게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해 이것저것 검사를 하잖아요?수혈 시작 후 첫 5분간 환자를 세밀히 관찰하며 천천히 주입하여야 한다. 주로분 이내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건 간호사가 아니어도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일반 상식인 것 같아요.
헌혈수혈: 환자의 혈관 내로 타인의 혈액을 투여하는 치료 · Ⅴ.수혈간호수혈이란 -적혈구의 산소운반능력을 보충하고 혈액량 유지를 위해 흔히 혈액 질환의 치료에 사용 -혈액 응고 요소와 혈소판의 수가 감소하여 기능장애가 있을 경우목적 -질병이나 손상으로 인해 손실된 순환 혈액량을 보충해주기 위함 -부족한 응고 인자를 보충하여 혈액을 교정하기 위함 -빈혈이 있는 환자의 산소 운반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함 -혈액의 결핍성분을 보충해주기 위함종류수혈 전 검사 -혈액형 검사 (ABO) -RH 검사 (+/-) -교차시험 (cross matching)수혈간호 (1)수혈 시 주의사항 · 수혈 부작용 발생 예방 간호 대상자의 성함을 개방형 질문으로 묻고 등록번호와 대상자 입원 팔찌 대조하여 확인 수혈할 대상자와 혈액이 일치하는지 반드시 검사 정확한 대상자와 혈액을 확인하기 위해 2명의 의료진이 확인 혈액은행에서 제공받는 혈액의 혼탁도 또는 침전물 확인 수혈 전/중/후 대상자의 활력징후 확인 김종임 외 공저, EBN 기본간호학 Ⅰ, 수문사 좋아요 카카오스토리 트위터 페이스북수혈의 목적 ① 수술 시의 출혈과 교통사고나 재해로 인한 외상에 따른 순환 혈액량을 보충하기 위함 ② 위중한 감염이나 간 (肝)질환으로 인하여 혈액을 적절하게 생산하지 못하는 경우 혈액을 보충하기 위함 ③ 신장 (腎臟)질환이나 암과 같이 빈혈을 유발시키는 질병을 가진 경우 혈액을 보충하기 위함 ④ 혈우병이나 혈소판감소증과 같은 출혈성 질환을 가진 경우 혈액 응고인자를 보충하여 지혈하기 위함 ⑤ 혈액의 산소운반능력을 증가하기 위함 ⑥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하기 위함 ※ 수혈 vs. 환자 / 보호자에게 수혈과 관련된 정확하고 충분한 정보를 제공 2) 수혈세트의 조절기를 잠근 후 혈액백을 연결) 점적통의 2/3채움) 수혈세트의 3Way연결) 수혈제제 주입 시 다른 수액은 주입되지 않도록 함 수혈부작용의 종류 및 간호 Ⅴ.수혈간호수혈이란 -적혈구의 산소운반능력을 보충하고 혈액량 유지를 위해 흔히 혈액 질환의 치료에 사용 -혈액 응고 요소와 혈소판의 수가 감소하여 기능장애가 있을 경우목적 -질병이나 손상으로 인해 손실된 순환 혈액량을 보충해주기 위함 -부족한 응고 인자를 보충하여 혈액을 교정하기 위함 -빈혈이 있는 환자의 산소 운반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함 -혈액의 결핍성분을 보충해주기 위함종류수혈 전 검사 -혈액형 검사 (ABO) -RH 검사 (+/-) -교차시험 (cross matching)수혈간호 (1)수혈 시 주의사항 · 수혈의 목적 ① 수술 시의 출혈과 교통사고나 재해로 인한 외상에 따른 순환 혈액량을 보충하기 위함 ② 위중한 감염이나 간 (肝)질환으로 인하여 혈액을 적절하게 생산하지 못하는 경우 혈액을 보충하기 위함 ③ 신장 (腎臟)질환이나 암과 같이 빈혈을 유발시키는 질병을 가진 경우 혈액을 보충하기 위함 ④ 혈우병이나 혈소판감소증과 같은 출혈성 질환을 가진 경우 혈액 응고인자를 보충하여 지혈하기 위함 ⑤ 혈액의 산소운반능력을 증가하기 위함 ⑥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하기 위함 ※ 수혈 vs. 헌혈수혈: 환자의 혈관 내로 타인의 혈액을 투여하는 치료 수혈 전, 중, 후 사정한 환자 상태, 간호 중재 내용, 수혈에 대한 환자 반응 정확히 기록. 수혈 전 검사를 위한 혈액 검체와 혈액, 혈액 성분제제를 안전하게 취급, 관리.
[장점] (1) 수혈로 인해 전파될 수 있는 질환의 위험성이 전혀 없음. 수여자백혈구가 파괴되며 발열물질분출야기. (3) 부작용이 없음. 신경림외- 간호사는 수혈의 기본원칙, 수혈의 필요성, 수혈로 인한 기대 효과 및 예상되는 부작용, 수혈부작용 예방 및 간호, 혈액성분제제별 적정투여량, 투여방법, 그리고 금기사항에 대해 숙지한다간호사는 정확한 방법으로 혈액이나 혈액성분제제를 투여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갖춘다간호사는 수혈간호를 제공해야 할 환자를 개별적으로 사정한다간호사는 수혈간호에 대한 간호진단과 계획을 수립하고 수혈 후 반응을 평가한다간호사는 수혈 전, 중, 후 사정한 환자상태, 간호중재내용, 그리고 수혈에 대한 환자반응을 정확히 기록한다 수혈시 필요한 혈액검사 결과 1) 혈청 검사 (1)ABO, Rh: A, B와 항원의 적혈구 표면 존재여부 결정 (2)교차검사 (적합성 검사): 혈정 내 항체에 의해 초래되는 공여자 적혈구의 응집여부 파악 2) 감염성 질환 검사 (1) 간염검사 (HBs Ag, SGOT 등): B, C형 간염검사 (2) HIV검사 (3) 매독검사정맥주입 방법 1) 혈액은행에서 가져온 혈액과 대상자 확인 2) 수혈세트의 조절기를 잠근 후 혈액백을 연결 3) 점적통의 2/3채움 4) 수혈세트의 3Way연결 5) 수혈제제 주입 시 다른 수액은 주입되지 않도록 함 수혈부작용의 종류 및 간호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 간호과정 #간호진단 수술 중 출혈과 관련된 비효과적인 말초조직 관류 Ineffective peripheral unit tissue perfusion related to bleeding during surgery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너무 피곤해요” “어지러워서 움직일 수가 없어요” “통증이 약간 있습니다” “통증척도 1입니다” “등이 아파요 무슨일인가요?” (수혈중) 객관적 자료 left hip arthroplasty 2일전에 받음 Hb(per L, 우리나라단위), Hct피부가 창백함 pallor Capillary Refill Time 4sec 수혈부작용과 간호중재 -수혈부작용%이상이 백혈구가 원인: 대상자 몸속에 들어온 외부의 백혈구가 대상자 체내의 항체와 결합. 현문사. 수혈 전 검사를 위한 혈액 검체와 혈액, 혈액 성분제제를 안전하게 취급, 관리. * 수혈의 종류 1) 자가수혈 수혈 절차> 수술 상담 시 자가수혈에 대한 상담 정해진 날짜에 병원 방문 채혈 전 자가수혈 기능여부 검사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 수혈받은 대상자의 %에서 1℃이상 체온상승됨(비용혈성 수혈부작용) -대부분 부작용 발생시기: 수혈 시작후 분내:처음부간 분당 gtt 속도로 수혈시작: 초기분간 이상없을시, 분당 gtt 수혈속도상승주입수혈 시 주의사항 -수술 전 후 Hb, PLT등의 혈액구성요소교정 필요시 수혈처방발생 -혈액처방 시, cross matching과 antibody screening test 접수 ·간호사는 수혈의 기본원칙, 수혈의 필요성, 수혈로 인한 기대 효과 및 예상되는 부작용, 수혈부작용 예방 및 간호, 혈액성분제제별 적정투여량, 투여방법, 그리고 금기사항에 대해 숙지한다간호사는 정확한 방법으로 혈액이나 혈액성분제제를 투여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갖춘다간호사는 수혈간호를 제공해야 할 환자를 개별적으로 사정한다간호사는 수혈간호에 대한 간호진단과 계획을 수립하고 수혈 후 반응을 평가한다간호사는 수혈 전, 중, 후 사정한 환자상태, 간호중재내용, 그리고 수혈에 대한 환자반응을 정확히 기록한다 수혈 전, 중, 후 사정한 환자 상태, 간호 중재 내용, 수혈에 대한 환자 반응 정확히 기록. (4) 희귀한 혈액형을 가진 사람의 경우 본인에게 적합한 타인의 혈액을 찾기가 어려울 수 있음. (2) 동종면역 (alloimmunization) 을 예방할 수 있음. 환자 / 보호자에게 수혈과 관련된 정확하고 충분한 정보를 제공 · 수혈 부작용과 간호중재 1) 급성수혈반응 2) 지연수혈반응 본문내용 *수혈의 종류 1)자가수혈 환자가 자신의 혈액을 채취하여 저장하였다가 필요 시 다시 돌려 받는 절차.
수혈 중 유해 반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보건의료인은 여러 예방 조치를 수행합니다. 수혈은 보통 안전하지만, 때때로 사람들은 부작용을 경험합니다. 보건의료인은 해당 수혈자에게 제공될 혈액이 맞는 확인하기 위해 혈액 백에 적힌 라벨을 다시 한 번 확인한 후 일반적으로 각 혈액 단위당 1시간~4시간에 걸쳐 혈액을 수혈자에게 서서히 제공합니다 수술직후간호-회복기간호 • 환자를세심하게관찰하는것중요, 안전하고개별적인간호제공회복실운반시간호환자의호흡상태와맥박및피부색사정보온, 노출및낙상을예방무릎과팔꿈치에억제대나안전벨트회복실간호: 환자인계와최초사정v/s측정, cvp · 수혈시 필요한 혈액검사 결과 1) 혈청 검사 (1)ABO, Rh: A, B와 항원의 적혈구 표면 존재여부 결정 (2)교차검사 (적합성 검사): 혈정 내 항체에 의해 초래되는 공여자 적혈구의 응집여부 파악 2) 감염성 질환 검사 (1) 간염검사 (HBs Ag, SGOT 등): B, C형 간염검사 (2) HIV검사 (3) 매독검사정맥주입 방법 1) 혈액은행에서 가져온 혈액과 대상자 확인 2) 수혈세트의 조절기를 잠근 후 혈액백을 연결 3) 점적통의 2/3채움 4) 수혈세트의 3Way연결 5) 수혈제제 주입 시 다른 수액은 주입되지 않도록 함 수혈부작용의 종류 및 간호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 · 혈액확인란에 서명. 수혈직전 환자 앞 이름 & 환자인식팔찌 & 혈액형을 의료인 2인 확인. 혈액 연결. 수혈. 수혈직전 V/S, 수혈의 목적 및 부작용 설명 후 혈액 setting 연결. 환자확인. 처음 5~15분 동안 분당~15gtt 속도로 주입, 부작용 주의 관찰. 수혈을 시작하기 전에 (보통 몇 시간 또는 며칠 전에) 환자는 헌혈자 혈액과 교차적합 검사를 합니다 (혈장 또는 혈소판 수혈의 경우 실시하지 않음). 수혈기록. 수혈 시작,분 후, 종료까지 V/S과 부작용 관찰, 수혈기록지 기록 수혈 업무 수행과정: 전산입력(by Dr.) ☞ 채혈(ABO Rh, X-matching) ☞ 혈액수령(혈액수령 요청서 출력 및 작성해서 혈액박스랑 같이 가져옴, RBC제제는 1unit씩 수령) ☞ 혈액확인(도착 즉시 혈액스티커 환자이름 확인 후 도착시간과 확인자란에 서명) ☞ 환자확인(환자와 함께 두명의 의료인이 환자이름, 환자번호, 혈액형 확인 후 연결자란에 코사인) ☞ 혈액연결(수혈 전 수혈의수혈 은 산소를 운반하고 체내 혈액량을 회복하며 응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혈액의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수혈 중 간호수혈은G 이상 needle로 시작하고 수혈 전 처방된 항히스타민제를 주사합니다 수혈 (Transfusion)은 혈액보충을 위하여 전혈 (Whole Blood)이나 혈장, 농축 적혈구 또는 혈소판 등의 혈액성분을 정맥에 주입함을 말한다. 수혈 간호 절차를 알려주는 교육 동영상으로 서울대학교병원 간호 부문에서 제공하는 동영상입니다 · 수혈 전 간호-환자를 확인한 후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고 환자의 혈액형, 과거 수혈 경험 및 부작용 유무 확인-혈액은행에서 혈액이 준비되었다는 연락이 오면 환자의 체온을 측정해 체온이. 또한 출혈로 혈액량이 급격히 감소하거나, 질병으로 인해 적혈구나 혈소판과 같은 혈구성분이 부족하여 생명에 위험이 있는 경우 다른 사람의 혈액을 받는 치료를 말합니다. 수혈의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출혈로 인한 혈액 부족 시 인체기능과 생명보존에 지장이 있을 때 순환혈액을 보충하기 위함이다심각한 만성적 빈혈을 가진 대상자의 적혈구 수를 증사시키고 혈색소 수준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더블체크는 반드시 필요합니다손을 씻고 혈액과 수혈 SET를 준비 후 환자에게 혈액형 확인 후 I.V pole에 혈액을 걸고 수혈 Set의 filter가 잠기도록 혈액을 채운 후 통과시켜 공기를 빼서 준비합니다. ℃이상 시 의사에게 알리고 수혈여부를 결정. 수혈이 결정되면 ·수혈을 준비하는 간호사는 수혈 직전 환자의 이름, 혈액형, 혈액 번호를 다시 확인하고 수별 백의 투여인 란에 서명합니다.
수혈 수행 전, 중, 후에 정확하게 기록한다. 주로분 이내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수혈은 되도록 2시간 이내에 끝나도록 한다. 오한, 두통, 구토, 빈맥, 저혈압 등의 부작용 발현여부를 사정하여 대상자를 면밀히 관찰한다. 수혈 시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수혈제제를 연결하고 주입 속도에 맞추어 주입한다. 수혈 시작 후 첫 5분간 환자를 세밀히 관찰하며 천천히 주입하여야 한다. 수혈이 완료될 때까지 환자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한다. 수혈 부작용으로 인한 환자상태를 감지한다. 수혈후부작용의 종류 -감염 -용량과잉: 심부전 -발열, 오한, 호흡곤란, 저산소증 -저체온증필요장비 및 물품 정맥주사 팔 모형 · 수혈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수혈 중 유의사항 첫분 동안~20gtts/분으로 주입속도를 맞춘다. 관련선행지식 혈액검사와 혈액 성분의 종류 수혈전 확인해야 하는 사항 (혈액검사 등) 수혈 중 유의사항 (주입속도 조절 등) 수혈 후 부작용의 종류와 간호 필요장비 및 물품 [활력징후 측정]: 혈압계, 청진기, 체온계, 초침시계 투약카트 또는 쟁반 (tray) 투약카드 (또는 컴퓨터 출력물) 스티커 (라벨) 부착된 혈액제재 백 혈액의 종류에 따른 수혈세트 소독솜 청결장갑 (외과용 멸균장갑), 곡반 · 수혈 부작용 발생 예방 간호 대상자의 성함을 개방형 질문으로 묻고 등록번호와 대상자 입원 팔찌 대조하여 확인 수혈할 대상자와 혈액이 일치하는지 반드시 검사 정확한 대상자와 혈액을 확인하기 위해 2명의 의료진이 확인 혈액은행에서 제공받는 혈액의 혼탁도 또는 침전물 확인 수혈 전/중/후 대상자의 활력징후 확인 김종임 외 공저, EBN 기본간호학 Ⅰ, 수문사 좋아요카카오스토리 트위터 페이스북 활력징후는 수혈 전, 수혈 시작 후분에 측정하여 기록한다.
그리고? 이건 간호사가 아니어도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일반 상식인 것 같아요. 장기 이식 전에도 이식할 장기가 환자에게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해 이것저것 검사를 하잖아요? · Ⅴ.수혈간호수혈이란 -적혈구의 산소운반능력을 보충하고 혈액량 유지를 위해 흔히 혈액 질환의 치료에 사용 -혈액 응고 요소와 혈소판의 수가 감소하여 기능장애가 있을 경우목적 -질병이나 손상으로 인해 손실된 순환 혈액량을 보충해주기 위함 -부족한 응고 인자를 보충하여 혈액을 교정하기 위함 -빈혈이 있는 환자의 산소 운반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함 -혈액의 결핍성분을 보충해주기 위함종류수혈 전 검사 -혈액형 검사 (ABO) -RH 검사 (+/-) -교차시험 (cross matching)수혈간호 (1)수혈 시 주의사항 ·간호사는 수혈의 기본원칙, 수혈의 필요성, 수혈로 인한 기대 효과 및 예상되는 부작용, 수혈부작용 예방 및 간호, 혈액성분제제별 적정투여량, 투여방법, 그리고 금기사항에 대해 숙지한다간호사는 정확한 방법으로 혈액이나 혈액성분제제를 투여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갖춘다간호사는 수혈간호를 제공해야 할 환자를 개별적으로 사정한다간호사는 수혈간호에 대한 간호진단과 계획을 수립하고 수혈 후 반응을 평가한다간호사는 수혈 전, 중, 후 사정한 환자상태, 간호중재내용, 그리고 수혈에 대한 환자반응을 정확히 기록한다 교과서에서 말하는 수혈 목적을 보면손실된 순환 혈액량의 보충부족한 혈액응고 인자를 보충빈혈 환자의 산소 운반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함혈액의 결핍 성분을 보충하기 위함 대략 이렇게 되어있는데, 간단히 말하면 혈액이나 혈액의 특정성분이 없을 경우 그걸 보충해주어 문제를 해결하는 거예요수혈은 일단 혈액형이 맞아야 해요. · 이 경우 외부에서 혈액을 정맥으로 공급해 주는 걸 수혈 (Blood transfusion)이라고 해요.
(4) 희귀한 혈액형을 가진 사람의 경우 본인에게 적합한 타인의 혈액을 찾기가 어려울 수 있음. (3) 부작용이 없음. 현문사. ·PRC 농축적혈구PC 농축혈소판Cryo- 동결침전제제FFP 신성동결혈장 + 백혈구 제거 적혈구 or 혈소판 혈액 제제를 이용하기도 하지만, 백혈구 제거 필터를 이용하여 기존에 백혈구가 제거되지 않은 혈액의 수혈세트에 중간에 필터를 달아서 이용하기도 합니다 · 수혈 부작용과 간호중재 1) 급성수혈반응 2) 지연수혈반응 본문내용 *수혈의 종류 1)자가수혈 환자가 자신의 혈액을 채취하여 저장하였다가 필요 시 다시 돌려 받는 절차. * 수혈의 종류 1) 자가수혈 수혈 절차> 수술 상담 시 자가수혈에 대한 상담 정해진 날짜에 병원 방문 채혈 전 자가수혈 기능여부 검사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2) 동종면역 (alloimmunization) 을 예방할 수 있음. 신경림외 ·) 수혈세트의 조절기를 잠근 후 혈액백을 연결) 점적통의 2/3채움) 수혈세트의 3Way연결) 수혈제제 주입 시 다른 수액은 주입되지 않도록 함 수혈부작용의 종류 및 간호 [장점] (1) 수혈로 인해 전파될 수 있는 질환의 위험성이 전혀 없음.